안드로이드 (11) 썸네일형 리스트형 안드로이드 viewModel 우선 앱의 구성 변경(예: 화면 회전)이나 백그라운드로 이동할 때 액티비티나 프래그먼트가 다시 생성한다. 기존 데이터와 상태를 잃을 수 있어 기본적으로 AppCompatActivity에서 saveInstanceState를 사용하여 이와 같은 이슈를 해결할 수 있었다. 하지만 saveInstanceState에 담을 수 있는 데이터가 적고, 데이터 형태가 제한되고, onCreate에서 작업을 처리하여 화면을 띄우는 시간이 지연된다. 따라서 viewModel은 saveInstanceState를 대체하고 생명 주기때문에 필요하다. viewModel은 이러한 구성 변경에 대비하여 UI 관련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존하고 UI 컴포넌트(액티비티 또는 프래그먼트)가 다시 생성되어도 데이터를 유지한다. viewModel은.. 안드로이드 Activity 클래스 1. Activity란? - 액티비티는 화면: 액티비티는 안드로이드 앱에서 보여지는 화면을 말한다. 예를 들어, 앱이 시작될 때 나타나는 첫 번째 화면이나 설정 화면 등이 각각 하나의 액티비티이다. - 사용자와 상호작용: 각 액티비티는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UI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 버튼을 누르거나 입력란에 글을 쓰는 것과 같이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 한 번에 하나의 액티비티: 한 번에 하나의 액티비티만 화면에 볼 수 있다. 여러 개의 액티비티를 동시에 보여줄 수는 없다. 하지만 한 액티비티 안에 여러 개의 Fragment를 나눠 보여줄 수 있다. - 다른 앱 화면 호출: 앱뿐만 아니라 다른 앱의 액티비티도 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를 열어서 웹페이지를 보여주거나, 지도.. 안드로이드 4대 컴포넌트 안드로이드의 4대 컴포넌트는 Intent와 상호작용을 한다. 우선 Intent에 대해서 알아보자. 1. Intent 란? - Intent란 컴포넌트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메시지 객체이다. - Intent를 사용해서 애플리케이션 내에 4대 컴포넌트로 작업을 요청하거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 즉, 애플리케이션 간의 통신, 액티비티 전환, 데이터 공유, 시스템 이벤트 처리 등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Intent는 명시적, 암시적 두 가지로 나뉜다. 1) 명시적 Intent - 목적 컴포턴트 이름을 (패키지명과 클래스명) 직접 지정한다. - 특정 컴포넌트를 직접 호출하거나, 특정 액션을 지정해서 해당 액션을 동작하는 컴포넌트를 호출할 때 사용한다. // 액티비티 A에서 액티비티 B로 전환하는 명시적 인텐.. 이전 1 2 다음